지도교수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부교수
eonsukko@chosun.ac.kr; 062-230-6551
https://sites.google.com/view/eonsukko
서울대 영문과에서 학,석사를 하고, University of Pennsylvania 에서 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사 학위 논문은 강세에 관한 음운 음성학적 연구를 다루었다. 박사 후 Brown University 에서 아동언어습득으로 분야를 넓혀 연구했다. 뉴욕주립대 (SUNY Buffalo) 재직 후 귀국하여 한국어를 배우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언어습득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조선대 영문과에 실험실을 구축했다. 데이터에 기반해 이론을 정비하고 테스트하는 다양한 주제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교수
정종민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연구교수
한림대학교와 Purdue University에서 언어병리 (Speech-Language Pathology)를 전공했다. 주된 관심은 청각장애 아동의 말-언어 발달 과정에서 관련된 다양한 변인들이 아동의 언어능력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형적인 발달을 보이는 영유아와 양육자들의 상호작용과 언어습득 과정을 공부한다. 또한, 밝혀진 전형적 언어발달의 요인들을 언어재활 현장에서 청각장애 영유아를 위해 어떻게 접목할까 고민하고 있다.
박사후연구원
Jun Ho Chai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박사후연구원
Nottingham(노팅엄) 대학에서 심리학 박사과정 수료과정에서 단어와 다언어 환경에 적합한 초기 단어 평가 도구를 개발하였다. 주요 연구 관심사는 조기 언어 발달, 유아 언어 인식, 조기 어휘 평가이다. 다양한 평가 방법을 결합하여 아동의 발달에 대한 종합적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다. 조선대학교 박사후연구원으로서 현재 모자 상호작용과 아동의 언어적 결과 사이의 다형태적 관계, 그리고 학습을 주도하는 언어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있다.
방문연구원
Assistant professor
Speech-Language-Hearing: Sciences and Disorders department
University of Kansas
인턴쉽
Barbara Zapior University of Eastern Anglia, B.S. Psychology (심리학)
Sarah Zhang Purdue University, B.S. Brain & Behavioral Sciences 2023(뇌 및 행동과학 학사)
Ines Juhee Sohn University of Washington, B.S. Speech & Hearing Sciences 2022(음성 및 청각 과학)
Saadloonia Ghazal Zanjan university University, B. A. English linguistics and translation (영어학및 통역)
협력 연구 기관
세계각국 영유아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모임으로 저희 연구실은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매우 활발하게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언숙 교수는 책임이사회 (Governing Board) 의 일원으로 리더쉽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어떤 나라의 어떤 연구실에서 공동연구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현황판을 보시면 우리나라의 위상에 비해 영유아에 대한 과학적 연구가 상당히 빈약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영유아 연구는 지역주민분들의 참여없이는 불가능하기에 많은 도움 부탁드립니다. 연구결과는 뉴스레터및 지역주민대상 강연회를 통해 공유됩니다.
협력연구자
이영기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조진영 Department of Linguistics, UCLA
권태안 Computer Science, Columbia University
문성민 아주대학교 연구교수
김은솔 한양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온경운 카카오브레인
함께 했던 분들
이태성 조선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남영자 McGill University
김현지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이지원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정현아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김의산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김도희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김지환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김지효 조선대학교 영어영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