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고개회전선호검사 연구 (Head-turn Preference Paradigm)
아기가 보호자의 무릎에 앉아 3개의 모니터가 붙어있는각각 좌, 우, 정면을 편안하게 바라보며 연구가 진행됩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7c9e_0d1a636dbe3a47c8b8221c9066cbdfa3~mv2.png/v1/fill/w_315,h_315,al_c,lg_1,q_85,enc_avif,quality_auto/c77c9e_0d1a636dbe3a47c8b8221c9066cbdfa3~mv2.png)
Mike Almodovar, in “Language Development” by Patricia Brooks and Vera Kempe,BPS Blackwell (2012)
연구 1. 한국아기는 미국엄마와 한국엄마의 목소리를 똑같이 좋아할까?
6-30개월 아기가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막 말을 배우기 시작하는 아기에게 어른들은 흔히 또박또박 발음하고 천천히, 짧게 말하며 단순한 문장구조와 과장된 표정 및 몸짓을 사용합니다. 이를 아동지향어라고 합니다. 한편,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어른들 간 사용하는 말은 성인지향어라고 합니다.
영어권을 중심으로 한 서양에서는 아기들이 아동지향어 듣는 것을 성인지향어를 듣는 것보다 좋아한다는 것이 오랫동안 알려졌습니다. 또한 단순히 좋아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단어를 아동지향어 억양으로 학습시킬 경우 성인 지향어로 학습시킬때보다 더 잘 배우는 것을 알게 되어, 아동지향어가 언어발달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많은 관심이 기울여지고 있습니다.
아쉽게도 한국어를 배우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아동지향어 연구는 전무한 실정입니다. 저희는 한국 아동이 영어권 엄마의 아동지향어와 한국엄마의 아동지향어 중 어느 것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나이에 따라 선호도가 변하는지를 6-8개월, 12-14개월 아기를 대상으로 연구합니다.
특히 이 연구는 전세계 70여개의 대학들과 함께 진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영어 실험은 타국의 실험실과 동일한 실험자극을 사용합니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조선대학교가 참여하고 있습니다.
연구2. 아기가 문장을 듣고 분절화할 수 있을까?
7-18개월 아기가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제 막 말을 배우기 시작하는 아기는 어른들이 하는 긴 문장을 들었을 때 문장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아동은 어른들의 "말" 그 자체를 이해하기보다 말의 높낮이에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말의 높낮이는 높아졌다 낮아질 수 있고, 낮아졌다 높아질 수 있습니다. 이 두 패턴 중 아동이 어떤 것을 선호하는지 고개선호 실험을 통해 알아봅니다.
또한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문장성분에 변화를 주어 아기의 선호도를 본 연구를 통해 알아봅니다.
고개 회전 선호 검사법을 이용한 실험의 예
bottom of page